본문 바로가기
사회 경제

한국 프로야구선수 연봉 순위 (2025년 기준)

by 수결 2025. 5. 31.

한국 프로야구선수 연봉 순위 (2025년 기준)

2025년 한국 프로야구(KBO) 리그는 연봉 구조에서 큰 변화가 감지된 해였습니다. 베테랑 선수들의 고연봉 유지와 더불어, FA 자격을 통한 대형 계약, 해외 유턴파의 복귀, 외국인 선수의 몸값 상승 등이 맞물리면서 연봉 상위권 명단은 예년과 달라진 양상을 보였습니다.
KBO가 발표한 3월 5일자 공식 자료에 따르면, 전체 등록 선수 519명의 평균 연봉은 1억 6,071만 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최고 신인 계약금은 키움 정현우, 한화 정우주 선수가 각각 5억 원을 기록하며 주목을 받았습니다.

한국 프로야구선수 연봉 순위 (2025년 기준)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 선수와 외국인 선수로 나누어 2025년 연봉 TOP 5를 살펴보고, 구단별 평균 연봉과 관련 정보도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국내 선수 연봉 TOP 5

  1. 김광현 (SSG)
     - 연봉: 30억 원
     - SSG의 에이스 투수로서, KBO 최고액 연봉자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꾸준한 성적과 팀에 대한 헌신으로 여전히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2. 고영표 (KT)
     - 연봉: 20억 원
     - 안정적인 제구와 이닝 소화 능력으로 KT 마운드를 이끄는 핵심 투수입니다. 지난 시즌 FA 계약을 통해 대폭 인상된 연봉을 받았습니다.
  3. 구자욱 (삼성)
     - 연봉: 20억 원
     - 삼성의 간판 타자로, 팀 내 중심타선에서 활약 중입니다. 타율과 장타력에서 꾸준함을 보여주며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로 자리매김했습니다.
  4. 류현진 (한화)
     - 연봉: 20억 원
     - 메이저리그에서 돌아온 ‘코리안 몬스터’. 국내 복귀 이후에도 대형 계약을 통해 정상급 대우를 받고 있습니다. 한화의 재건을 이끄는 핵심 투수입니다.
  5. 최정 (SSG)
     - 연봉: 17억 원
     - SSG의 베테랑 내야수로, 통산 홈런 기록 보유자입니다. 타격뿐 아니라 리더십 면에서도 팀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선수 연봉 TOP 5

  1. 로하스 (두산)
     - 연봉: 25.2억 원
     - KBO 복귀 후 두산에서 활약 중인 외야수. 타격 전반에 걸친 높은 기여도로 리그 최고 외국인 타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네일 (LG)
     - 연봉: 22.4억 원
     - LG의 선발 투수로 활약하며 시즌 내내 안정적인 피칭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타 팀의 관심도 많았던 선수입니다.
  3. 에레디아 (SSG)
     - 연봉: 22.4억 원
     - 작년에 이어 올해도 꾸준히 활약 중인 외야수로, 수비와 타격 모두에서 높은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습니다.
  4. 오스틴 (LG)
     - 연봉: 21억 원
     - LG의 중심타선에서 활약하는 외국인 타자. 특히 장타력과 찬스에서의 집중력이 강점입니다.
  5. 반즈 (롯데)
     - 연봉: 18.9억 원
     - 롯데의 에이스 역할을 맡고 있는 외국인 투수. 특유의 공격적인 투구 패턴으로 리그 타자들을 압도하고 있습니다.

KBO 평균 연봉 및 구단별 현황

전체 평균 연봉 (2025년 기준)
 - 등록 선수 519명 기준 평균 연봉: 1억 6,071만 원

최고 신인 계약금
 - 5억 원 (키움 정현우, 한화 정우주)

평균 연봉 1위 구단
 - SSG 랜더스: 2억 2,125만 원
  → 김광현, 최정 등 고액 연봉 선수 다수 보유

평균 연봉 최저 구단
 - 키움 히어로즈: 8,931만 원
  → 리빌딩 중심 운영과 유망주 육성 중점


연봉 상승 요인과 향후 전망

  1. FA 시장의 팽창
     최근 몇 년간 FA 시장이 확대되면서 20억 원 이상 대형 계약이 흔해졌습니다. 구단들은 팀 전력 강화를 위해 중심 선수에게 과감히 투자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위권 연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2. 해외파 복귀
     류현진, 로하스 등 MLB나 일본리그에서 돌아온 선수들의 복귀는 리그 전반에 긍정적 자극을 주며 연봉 구조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들은 KBO에서 검증된 실력을 바탕으로 고연봉 계약을 맺고 있습니다.
  3. 외국인 선수 몸값 상승
     외국인 선수들의 기량이 상향 평준화되면서, 검증된 외국인 자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 그 결과 20억 원이 넘는 연봉을 받는 외국인 선수들이 늘고 있습니다.
  4. 선수 육성과 리빌딩의 양극화
     SSG나 LG 같은 우승권 팀들은 고연봉 선수를 다수 보유한 반면, 키움과 같은 팀은 유망주 중심 운영으로 평균 연봉이 낮아지는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마무리

2025년 KBO 리그는 연봉 구조를 통해 각 구단의 운영 방향성과 선수 가치의 변화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고액 연봉을 받는 선수들은 명백한 성과를 기반으로 팀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는 팬들의 기대와도 연결됩니다. 한편, 저연봉 선수들의 도약도 여전히 KBO의 흥미 요소입니다. 다음 시즌에도 누가 새로운 연봉 상위권에 이름을 올릴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사회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민국 역대 대통령 취임식 날짜  (0) 2025.06.03
사무관 급수, 연봉  (0) 2025.06.02
판사 정년 나이  (0) 2025.05.27
낙수효과 뜻  (0) 2025.05.26
호텔경제학 뜻  (0) 2025.05.24